content="user-scalable=no, initial-scale=1.0, maximum-scale=1.0, minimum-scale=1.0, width=device-width"> 죽여 마땅한 사람들 - 피터 스완슨, 스릴러 소설 추천
본문 바로가기
책 읽는 김베러

죽여 마땅한 사람들 - 피터 스완슨, 스릴러 소설 추천

by 찌재 2022. 5. 16.
728x90
반응형
 
죽여 마땅한 사람들
낯선 공간에서 우연히 만난 두 남녀가 서로 내밀한 사생활을 털어놓으며 이야기가 시작되는 소설 『죽여 마땅한 사람들』. 저자는 이 작품에서 피가 흘러넘치는 잔혹함도 누가 봐도 나쁘다고 손가락질할 사람이 아닌 우리 주변에 하나쯤 있을 만한 사람들을 모아서 그들 사이에 일어날 수 있는 일, 그들이 증오를 처리하는 방식을 제시한다. 작품 속 인물들은 용서할 수 없기에 복수를 계획하고 실행한다, 비록 살인일지라도. 히스로 공항 라운지 바에서 우연히 마주친 두 남녀. 사업에 성공한 결혼 3년차의 테드는 빨간 머리에 깡마르고 바닷물처럼 투명하고 초록빛이 도는 푸른 눈동자를 지닌 릴리를 만난다. 마침 비행기가 지연되었기에, 테드는 언제든 반대 방향으로 갈라설 수 있는 공항의 법칙에 입각해 그녀에게 일주일 전 이야기를 털어놓는다. 우연히 아내가 바람을 피운다는 것을 눈치 챘고, 마침내 현장을 목격했다고. 그래서 출장 내내 고통스러웠다며 릴리에게 쏟아내듯 속마음을 말했다. “이제 어떻게 할 거예요?”라고 묻는 릴리에게 “아내를 죽이고 싶어요. 그게 내가 정말로 원하는 거죠” 하며 테드는 농담이라는 신호로 윙크를 해보인다. 하지만 “나도 당신과 같은 생각이에요”라고 말하는 릴리의 눈빛은 너무나도 진지한데……. 릴리는 어릴 때부터 예술가, 작가, 엄마아빠의 새 애인과 전 애인이 뒤섞여 섹스 파티를 기묘한 상황에 노출되어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릴리는 기르던 고양이를 괴롭히는 길고양이를 죽여 버리고, 이것이 그녀만의 완벽한 문제 해결 방식으로 자리 잡는다. 얼핏 고요해 보이는 일상이지만 그녀는 여전히 자신에게 상처를 주는 사람들을 쓰레기를 치우듯 차례차례 죽여 나간다. 살인은 분명 나쁜 짓이지만, 저자는 뛰어난 구성과 매력적인 캐릭터로 살인의 당위를 만들어낸다. 다시는 전과 같은 인생을 살 수 없게끔 만든 사람이 있다면, 내가 그 사람을 죽일 자신이 있다면, 시체도 완벽히 숨길 수 있다면, 당신은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이 질문에 머뭇거릴 수밖에 없는 마음이 우리가 릴리를 비난만 할 수 없는 이유가 된다.
저자
피터 스완슨
출판
푸른숲
출판일
2016.07.22

 

현재 하고 있는 한가람 독서모임이 코로나 격상으로 인해 비대면으로 잠시 전환 되었을 때 일일 멤버 js님과 함께 읽은 2016년 작품의 피터 스완슨의 추리소설 <죽여 마땅한 사람들>의 독서 모임 후기를 작성해보겠습니다.

Q. 릴리는 소시오패스인가 사이코패스인가? J: 소시오패스 아닐까? H: 그래서 제가 이번 책을 읽고 소시오패스, 사이코패스의 정의와 그 차이점에 대해 간단히 공부 해보았는데 그 결과 저는 릴리의 경우 사이코패스와 소시오패스의 두 면모를 모두 결합시킨 캐릭터라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사이코패스는 충동적이고 두려움을 느끼지 못하는 기질을 타고나는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 살인을 저지르는 릴리는 계획적이긴 하나 그 살인들에 다 타당한 이유가 있어서인지 살인을 준비하는 과정과 그 결과에 대해 전혀 두려움을 느끼지 않죠. 반면 정말 소시오패스적인 기질을 보인 캐릭터는 미란다라고 생각해요. 실제로 소시오패스의 정의를 보면 자신의 성공을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나쁜 짓을 저지르며, 이에 대해 전혀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는 사람을 뜻한다고 하는데 그런 정의적인 부분에서 보았을 때 미란다는 본인의 욕망을 위해 테드, 브래드를 이용하는 점에서 말이예요.

Q.. 미란다와 릴리의 소시오패스적인 모습이 가정(어린시절)에서부터 발현된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J: 보통 그렇지 않을까. H: 릴리와 미란다 둘은 다른 집안 환경 속에서 자랐지만, 공통적인 부분이 있다면 바로 자녀들에게 무관심하고 어찌보면 무책임한 부모님을 두었다는거 아닐까 싶습니다. 저는 한 아이가 세상에 태어나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사회 공동체 집단인 가족, 그 속에서도 부모와 자녀의 유대관계 속에서 어린시절 자녀의 자아를 형성하는데 그나큰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생각합니다. 저 또한 미래의 제 자녀에게 좋은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부모가 되기 위해서 다양한걸 느끼고 경험하려고 하는 편이니까요. 그래서 비단 미란다, 릴리 두 캐릭터 뿐만 아니라 우리 현실 속에서도 가정이 끼치는 영향력이 크다는걸 느끼는 바입니다.

우선 이 책을 읽는 가장 큰 묘미는 각기 다른 가장 대표적인 네 명의 캐릭터 시점에서 해당 사건을 전개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릴리는 살인자인 동시에 피해자이며,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면서 각자의 마음 속에도 죽여 마땅한 사람들이 하나쯤 있을거라 생각하는데 그런점에서 보아 릴리는 우리의 내밀하고 어두운 욕망을 대신 실행하는 인물이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아, 그리고 저는 이 책에서 반전의 요소가 있다고 봅니다. 직접 읽어보시고 그 반전이 무엇이었는지 저랑 이야기 나눠보는 것도 재밌을 것 같단 생각이 드네요. 또한 인물들의 소시오패스, 사이코패스적인 기질을 두고 함께 독서토론하기에 좋은 책이란 생각이 듭니다. 이상 피터 스완슨의 <죽여 마땅한 사람들>의 독서 기록, 독서모임 후기를 마무리 하겠습니다.

 

피터 스완슨의 <죽여 마땅한 사람들> 독서모임을 준비했던 독서노트의 일부분을 사진으로 남겼습니다!

 

728x90
반응형